안녕하세요.
저는 중소 제약회사에서 **QC(Quality Control, 품질관리)**로 근무하고 있는 ssub0w0입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많은 취준생분들이 궁금해하는 QC와 QA의 차이점, 그리고 실제 협업 과정을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.
🔍 QC와 QA, 뭐가 다른가요?
많은 분들이 QC와 QA를 혼동하시는데요, 쉽게 정리하면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.
구분 QC (Quality Control) QA (Quality Assurance)
주요 업무 | 시험·검사 수행, 데이터 생성 | 품질 시스템 관리, 문서 검토, 출하 승인 |
핵심 역할 | 제품이 규격에 맞는지 시험으로 확인 | 시험과 공정을 관리하며 품질 보증 |
현장 vs 시스템 | 실험실 중심 | 문서·규정 중심 |
대표 업무 예시 | 원료 시험, 공정 중 시험, 완제품 시험 | SOP 관리, 밸리데이션, 감사 대응, 출하 승인 |
즉, QC는 “데이터로 품질을 증명”하는 직무이고 -> 실제로 실험을 수행하여 품질을 증명한다는 의미
QA는 “시스템으로 품질을 보장”하는 직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. -> 실험 데이터를 가지고 생산하고 있는 의약품에 대한 품질을 보장(증명)할 수 있는 문서를 작업한다는 의미
🤝 QC와 QA의 협업!!
QC와 QA는 서로 분리된 부서지만 함께 움직여야 품질을 지킬 수 있습니다.
- QC가 시험 수행 → 결과 기록
- QA가 기록 검토 및 규격 준수 확인
- 문제 발생 시 원인 분석 및 개선조치(CAPA) 진행
- QA가 최종 출하 승인
예시: QC에서 원료 시험 중 이상 수치( ex) 제품 주성분의 함량 미달)가 나오면, QA는 공정팀과 함께 원인을 조사하고, 개선 조치를 지시합니다. -> 이를 CAPA과정이라 합니다.
QC는 개선 후 재시험 → QA가 최종 확인 → 제품 출하 승인
이런 식으로 QC와 QA는 서로 없으면 안 되는 파트너입니다.
⚡ 현실 팁!
- 시험 결과는 꼼꼼히 기록
- “기록하지 않은 건 하지 않은 것과 같다”는 GMP 규정 기억!
- 데이터가 올바르게 측정 -> 시험일지 기록
- 데이터가 잘못 측정 -> 일탈보고서 기록
- QA와 커뮤니케이션 필수
- 문제가 생기면 바로 보고, 결과 공유
- 업무 성격 이해
- QC: 실험·데이터 중심
- QA: 문서·시스템 중심
✨ 마무리
QC와 QA의 차이를 이해하면, 취준생분들이 자신이 맞는 직무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혹시 글을 읽다가 궁금한 점이나 더 알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
제약회사 QC와 QA를 준비하는 여러분을 항상 응원합니다! 💪
'품질관리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y 5 | 시험실 안전수칙 & 기본 실험기구 사용법 (2) | 2025.09.22 |
---|---|
Day 4 | QC의 하루 일과?? 🧑🔬 (0) | 2025.09.22 |
📌 Day 2. GMP와 QC의 관계 (0) | 2025.09.17 |
📌 Day 1. 제약회사 QC란?ㅣ품질관리 직무 소개와 취업 준비 첫걸음 Day 1 (2) | 2025.09.16 |
💊 제약회사 품질관리(QC) 이화학 실험실에서의 하루! (2) | 2025.09.15 |